2019. 11. 28. 16:52ㆍ의약품 사용오류 예방 가이드/부록
1. 피임제
- estrogen이 함유되어있는 약물은 피한다.
- progestin 단독 피임제가 선호된다.
- 만일 모유분비가 저하되면 즉시로 약을 중단한다.
2. 항생제
- penicillins 과 cephalosporins은 보편적으로 안전하다.
- azithromycin은 산후 초기의 사용만 빼고는 안전하다.
- quinolones계는 주의해서 사용한다.
- metronidazole : 모유 내 농도는 꽤 높을 수 있으나 대체로 안전하다.
신생아에게 쓰이는 약물 중 하나이므로 모유수유를 통하여 얻어지는 약물 이라도 해롭지 않다.
- 모든 항생제는 장내세균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설사 및 candida의 과번식을 일으킬 수 있다.
3. 항고혈압제
- metoprolol, labetalol, propranolol 과 같은 beta blockers 사용을 추 천한다. 되도록 acebutolol, atenolol 은 피한다.
- 추천되는 칼슘채널차단제는 nifedipine, nimodipine, verapamil, nitrendipine 이다.
- ACE inhibitor는 미숙아에 모유수유 할 경우 사용을 권장하지 않고 쓸 수 있는 약물로는 captopril, enalapril, benazepril, methyl dopa, hydralazine이 있다.
4. 예방접종
- MMR, hepatitis B, hepatitis A, DPT, influenza, lyme vaccine, varicella, inactivated polio등은 안전하다.
5. 진통제
- hydrocodone, morphine은 사용가능하다.
- fentanyl을 사용할 경우 모유내로 전달되는 양은 작다.
- ibuprofen, acetaminophen은 사용가능하다.
- naproxen 사용은 권장되지는 않지만 짧게 쓸 경우 사용할 수 있다.
- celecoxib을 복용할 경우 모유 내 농도는 매우 낮다(0.3%)
6. 감염성 유선염
- 대부분 staphylococcus aureus 에 의하여 야기된다. 모유수유 하는 산 모의 약 10~15%에서 걸린다.
- 원인균이 MRSA인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경우에 따라 치료가 달라질 수 있으나 clindamycin, vancomycin, sulfonamides, daptomycin 로 치료할 수 있다.
7. 신경안정제, 조현병 치료제
- lorazepam 혹은 midazolam과 같은 짧은 반감기를 지닌 진정제를 투여 한다. 장기간의 사용은 금한다.
- phenothiazine 유도체의 사용은 피한다.(chlorpromazine을 모유 수유하 는 엄마에게 사용 시 아기의 수면 중 무호흡과 영아급사증후군의 빈도를 높일 수 있다.)
출처: 모유수유와 약물요법, 김애란, HANYANG MEDICAL REVIEWS Vol. 30 No. 1, 2010
'의약품 사용오류 예방 가이드 > 부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록 제6장 개봉 가능하나 권장하지 않는 의약품 (0) | 2019.11.28 |
---|---|
부록 제5장 시럽의 몸무게 당 복용량 환산 계수 (0) | 2019.11.28 |
부록 제3장 임신기간 동안 투여된 위험약물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0) | 2019.11.28 |
부록 제2장 약과 음식의 상호작용 (0) | 2019.11.28 |
부록 제1장 1-2. 고위험약물군의 안전관리와 사용오류 예방 (0) | 2019.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