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사용오류 예방 가이드/5. 일반의약품 사용오류 예방(5)
-
제5장 건강기능식품 복용시 주의사항
처방조제약 복용 중 환자의 판단으로 건강기능식품을 추가 복용하면 상호작용 발생으로 약 효의 변화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치과 발치 후 출혈이 멎지 않는 경우 출혈 경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오메가3, 오메가6, 은행잎등과 같은 건강기능식품의 복용으로 인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건강 기능식품 상담시 건강기능식품의 작용 특성, 구매자의 건강 상태, 앓고 있는 질환, 복용중 인 약물등과의 상호 영향을 면밀히 살핀 후 적절한 건강기능식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SUMMARY - 치과 발치 후 출혈이 멎지 않는 경우 건강기능식품 복용에 의한 영향을 확인한다. - 오메가3, 오메가6, 은행잎, 인삼, 당귀, 스피루리나, 클로렐라, 쏘팔메토, 글루코 사민, 공액리놀레산, 초록잎 홍합 등 환자가 복용하는 ..
2019.11.28 -
제4장 일반의약품 판매와 수진권고, 부작용 관리
가. 일반의약품은 소비자가 호소하는 불편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의 약품으로 그런 증상이 소실되었다고 해도 의료기관의 진료를 미루어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또한 일반의약품도 의약품으로서의 고유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 으므로 부작용 예방과 사후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나. 소비자가 일반의약품 복용만 고집하여 본인의 질병이 악화되는 등 치료기회가 상실되 지 않도록 적절한 셀프 메디케이션을 돕는다. 일반의약품으로 치료가 어려운 경우 병 원진료를 권고한다. 다. 일반의약품 판매로 발생한 부작용에 대해 적절한 의약학적 조치를 취한다.
2019.11.28 -
제3장 일반의약품 사용 오류 예방을 위한 유의사항
가. 소비자의 자각증상 표현을 정확히 청취 일반의약품 사용오류는 환자와 의사소통이 제대로 안된 경우에 일어난다. 따라서 환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의약품과 자각증상이 일치하는지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 청취한다. 환자의 표현이 부정확하거나 의심이 드는 경우 의문사항을 다시 질문하여 정확히 파악 한다. 나. 소비자의 기본 정보, 병력과 약력의 확인 1) 일반의약품 판매는 구매자의 익명성과 편의성이 강조되기 때문에 환자에 대한 기본 정보 를 소홀히 하기 쉽다. 2) 본인 복용 여부, 복용할 사람의 연령・성별, 임신 및 수유 여부등 기본적인 환자 정보와 현재 복용 중인 약, 특정 약물에 대한 이상반응, 현재 앓고 있는 질병 등을 충분히 들은 후 제품을 선택한다. 다. 일반의약품 선택시 유의사항 1) 소비자의 불편한 ..
2019.11.28 -
제2장 일반의약품 판매 오류의 유형
가. 의사소통 오류 1) 외국인 고객과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안약 대신 발모제로 사용되는 마이 녹실액 5%를 판매한 경우 2) 70대 노인이 변비가 심해서 약국을 방문했는데 설사약을 달라고 말하여 지사제를 판매한 경우 3) 발톱 무좀용 치료제를 구매하려 했으나 무좀약을 달라고 표현하여 발무좀 연고를 판매한 경우 나. 제품 제형 규격 오류 1) 관장약을 달라고 해서 관장약 30ml를 주었는데 소아용 20ml를 지칭함 2) 정로환을 달라고 하여 환의 형태를 주었는데 당의정을 원함 다. 유사 제품 오류 1) 자동차에 쓰려고 정제수를 원했는데 식염수를 줌 2) 머릿니가 생겼는데 머릿니약 대신 서캐약을 줌 3) 먹는 관장약을 찾아 변비약 추천하니 아니라고 하면서 장청소약 구매 4) 스프레이라고 해서 ..
2019.11.28 -
제1장 일반의약품 판매
가. 소비자의 기본 정보와 방문 목적(3W) 확인 1) 약사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일반의약품 자가요법을 위해 기본적으로 일반의약품을 누가 (WHO), 무엇을(WHAT), 왜(WHY) 구입 하려는지 확인한다. 2) 누가(WHO) 먹는가는 일반의약품을 복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연령, 성별, 임신 또는 수유 여부등 기초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무엇을(WHAT), 왜(WHY)먹는가에 대한 문의는 환자의 일반의약품 구입목적을 확인하 는 절차이다. 3) 일반의약품은 기록을 통한 당사자 확인절차가 없고 구매자가 복용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3W 확인 후 판매한다. 나. 소비자의 약력과 병력, 자각증상의 확인 1) 치료중인 질환이나 복용중인 처방의약품등 약력과 병력을 확인한 후 자각 증상에 맞..
2019.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