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사용오류 예방 가이드/3. 의약품 사용단계별 사용오류 예방 매뉴얼(17)
-
제1장 3. 의약품 사용오류 예방을 위한 확인절차
1. 주요 오류 확인 1) 소아 처방전 용량 확인 : 몸무게나 개월 수에 따른 용량을 확인한다. 2) 연령금기 약물의 확인 (한국의약품 안전관리원 홈페이지 참조 작성) 3) 상용량, 최대량 확인과 용법 확인 가) 처방전의 1회 용량을 확인한다. 나) 용법을 확인한다. 다) NSAIDs의 1일 최대량 일반적으로 NSAID간의 병용은 상승효과는 없고 부작용이 증가하여 추천되지 않는다. 4) 처방일수 확인 : 총 투약일을 확인한다. 5) 타 지역에서 발행된 처방전은 용법, 함량 확인에 더욱 주의를 기울인다. 6) 분할 분쇄 불가 의약품의 분할이나 분쇄처방에 대한 확인 가) 분할이 가능한서방정이나 장용정 기본적으로 서방정이나 장용정은 분할이 불가하지만 2015.09.01.부터 적용 되는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지침..
2019.11.27 -
제2장 1. 의문 조회
가. 처방전의 의문사항을 의사와 통화로 확인한 후 처방전 및 약국 컴퓨터, 청구시스템 등에 문의결과를 기록으로 남긴다. 만일 약사의 의문응대에도 처방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는 처방 변경 없이 기존 처방을 유지하도록 했다는 사실을 기록으로 남긴다. 나. 처방에 의문이 있을 때는 연령과 용량・용법을 상세히 확인한 후 정확하고 간략하게 질문한다.
2019.11.27 -
제1장 1. 원칙 및 처방전 검토
1. 원칙 의사 및 치과의사가 발행한 처방전의 내용을 검토하여 의문점 등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정해진 절차에 따라 확인하여 조제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처방전 검토 가. 처방 형식 검토 1) 환자 성명, 성별, 주민 번호, 처방 일자, 유효 기간 2) 약품명(성분명), 용량, 용법, 투여 일수 3) 의료기관명, 소재지, 의사 성명, 면허번호, 서명 나. 처방 내용 검토: 환자 정보(성별, 나이)를 확인 1) 약물 선택의 적절성 검토 가) 진단명과 처방 약물의 적응증 검토 나) 연령 또는 성별에 따른 약품 선택의 적절성 검토 (노인 주의, 소아 연령 금기, 성별 금기 확인 등) 다) 임부 또는 수유부 금기 라) 환자의 다른 복용약과 병용 가능 검토 마) 저함량 배수처방일 경우 필요시 고함량으로 변경 요청..
2019.11.27 -
제7장 2. 고위험 의약품의 안전관리와 사용오류 예방
가. 고위험 의약품 조제 투약 시 유의사항 1) 고위험 의약품의 조제는 별도로 규정된 고위험 의약품 안전관리 매뉴얼에서 정한 업무 수순에 따라 실시한다. 특히 조제 투약 시 이중점검을 필히 실시하여야 한다. 2) 고위험 약물을 투여할 경우 약사는 사전에 환자가 의사로부터 받은 설명이나 지도 내용, 환자의 기초적인 임상 정보 등을 파악한 후 실시한다. ① 환자에게 투여되는 의약품의 명칭, 용법, 용량 ② 발현 가능한 의약품 부작용과 대처 방법 등을 충분히 설명(가급적 서면 복약지도 방법을 사용함)하고 투약 ③ 복약 순응도와 부작용 발현 여부, 효능 효과에 대한 사후 모니터링 ④병용하는 일반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 음식물과의 상호작용을 확인 3) 고위험 약물에 대한 투여시 복약지도 사항은 정확하게 문서(전자..
2019.11.27 -
제7장 1. 고위험 의약품
가. 고위험 의약품이란 오류 발생 시 환자와 직원의 안전에 치명적인 위해 또는 잠재적으 로 높은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거나 치료역이 좁고 부작용이 발현될 위험성이 높아 ‘처방, 보관, 조제, 이송, 투여, 폐기’시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의약품을 말한다. (보 건복지부・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6) 나. 고위험 의약품군의 범위 고위험 의약품은 조제과정의 오류나 약화사고 발생율이 높은 의약품으로 약물의 적정관리는 환자와 직원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일이다. 따라서 고위험 의약품은 처방시 주의점, 보관상 유의사항, 조제시 유의사항, 주의 환기 라벨링 방법 등 고위험 약물 관리 전반에 대한 별도의 안전 관리 지침을 운용한다. 1) 조제시 오류방지 라벨과 약사의 건강에 위험이 되는 약물에 대한 라벨링 2) 임부..
2019.11.27